지식 이모저모19 [지식 이모저모] 퇴직연금의 종류 1. 확정급여형(DB) - 받을 금액이 확정되어 있음 - 사내가 아닌 외부 금융기관에 적립되기 때문에 회사의 존폐와 관계 없이 퇴직금 보장되므로 안정적 - 종업원의 직접 투자가 불가능하고 회사는 안정적인 저금리 상품으로 운용하므로 수익성 강화 힘듬 - 계산방법 : 퇴직연금(DB) = 최근 3개월 평균임금 X 근속년수 2. 확정기여형(DC) - 내는 금액은 정해져 있지만 운용수익에 다라 연금 수령액 달라지며 수령액을 구체적으로 알 수 없음 - 회사는 각 종업원에게 개인 계좌를 부여하고 일정한 퇴직금을 정기적으로 부여하여 스스가 운용하게 함 - 종업원은 위험 부담이 있지만 자신에게 맞는 투자를 할 수 있음 (위험이 있어 위험자산 투자는 전체 적립액의 70%까지 가능) 3. 개인형퇴직연금(IRP) - 퇴직금은.. 2023. 3. 16. [지식 이모저모] 이력서에 적는 희망연봉은 어떻게 적는걸까? 이력서 희망연봉 - 신입 : 업계 평균, 회사 내규 => 직무와 분야를 알아보고 적어야 함 => 어떻게 보면 직무 및 분야의 관심도를 책정하는 항목일 수 있음 - 경력 : 업계 평균, 회사 내규, 본인이 원하는 정도, 평균 * 110~120% => 본인이 원하는 정도가 높으면 면접 혹은 업무에서 증명해야 함(월급루팡이 아닌 걸 알려줘야 함) => 동종업계 같은 직급의 연봉을 조사 후 적어도 괜춘 뭐 위와 같이 적어도 지원한 회사에서 연봉을 미리 정해놨을 수도 있음 그냥 형식적인 걸 수도?? 여기에 대한 명확한 답은 없으며, 회사마다 이유가 다름 2023. 3. 15. [지식 이모저모] GDP GNP GNI의 뜻 GDP(Gross Domestic Product) - 국내 총생산으로, 국내에서 발생한 전체 생산량(그 국가에 있는 외국인, 외국기업의 생산량 포함) - 한 국가의 가계, 기업, 정부가 생산한 재화, 서비스 가치를 평가하여 합산한 것 - 명목 GDP : 물가 상승분이 반영되어 산출 - 실질 GDP : 물가 상승분 제외되고 생산량 변동만 측정 => 명목과 실질의 기준 : 시장가격 기준을 '당해연도'와 '기준연도' 중 어느 것 사용하는지에 따라 나뉨 => 명목은 당해연도, 실질은 기준연도 사용 => 사용 : 명목은 한 국가의 규모를 파악할 때, 실질은 경제 성장과 변동 등에 대한 동향을 파악(생산량이 얼마나 늘었는지 알 수 있음)할 때 사용 GNP(Gross National Product) - 국민 총생산으.. 2023. 3. 15. 이전 1 2 3 4 5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