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지식 이모저모

[지식 이모저모] 의외로 헷갈리는 경제단어 3개! | 간단히 알고 가자!

by 매일매일, 성장하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2023. 4. 18.

CPI

- 국가의 소비자 가격변동 측정 지표
- 소비자들이 일상적으로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화 측정
- 물가 상승률 측정하여, 인플레이션 예측에 사용
- Consumer Price Index

PPI

- 생산자가 경험하는 비용 변동 측정 지표
- 제조업에서 생산된 상품의 가격 변화 측정
- 생산성과 수요 변화 파악해,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예측
- Producer Price Index

PCE

- 국가에서 소비자가 소비한 총지출 측정 지표
- 소비자들이 실제로 소비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화 측정
- 소비자들의 구매력과 경제적 활동 파악하여 경제성장과 물가 상승률 예측
-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s

※ 이 아래부터는 더 궁금한 분들만 보세요

CPI와 PCE의 차이점

1) CPI
- 가계 소비자 대상
- 일정한 장바구니* 안에서 구매하는 상품과 가격 추적
- 주택비, 의료비 등의 비용 변화 고려

2) PCE
- 개인소비지출 대상
- 소비자들이 실제로 소비한 금액 바탕으로 가중치 적용
- 금융 상품, 자동차 등의 이자 고려

*일정한 장바구니 목록
- 식료품 및 음료 (CPI, PCE)
- 주택비용 (CPI, PCE)
- 의료비용 (CPI, PCE)
- 교통비용 (CPI, PCE)
- 통신비용 (CPI, PCE)
- 교육비용 (CPI, PCE)
- 옷 및 신발 (CPI, PCE)
- 여가 활동 비용 (CPI, PCE)
- 개인 관리용품 (CPI)
- 애완동물용품 및 서비스 (CPI)
- 가전제품 (PCE)
- 금융서비스  (PCE)
- 기타 서비스(세탁, 청소, 자동차 세차 등) (PCE)

세 지표들은 어디에 사용?

- 미국의 경제 활동 분석 및 예측
- Fed가 경제 전망과 인플레이션 관리위해 살펴 봄
- 이를 바탕으로 금융 시장 조절, 화폐정책의 조정, 경제 예측 및 비즈니스 전략 수립

세 지표의 상승과 하락

- 상승 : 인플레이션 우려
- 하락 : 디플레이션, 경기침체 우려
- 중앙은행은 이에 대응해 기준금리, 통화량 조절 및 금융정책 시행
- 경제 상황과 물가 상승률 파악에 중요

종합하면!
중앙은행이 세 지표를 참고하여, 정책을 수립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