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ESG

[ESG] 지속가능경영 ESG 간단한 역사를 살펴보자

by 매일매일, 성장하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2023. 4. 12.


1. 지속가능발전과 ESG 경영

- ESG는 산업혁명 시대에서 뿌리를 찾을 수 있다
- 일산화탄소와 아동노동이 이슈가 되면서, 환경과 사회에 해를 끼치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면서다
- 이후 글로벌 규약이 만들어지면서 환경경영, 윤리경영, 지속가능경영 등이 강조 됐다
- 특히 지속가능경영은 ESG의 근간이 되었다
   => ESG는 '지속가능경영'과 '사회적책임(CSR)'이 규범화 및 제도화 된 것

- 지속가능성 : 현세대의 필요 충족을 위해 미래세대의 자원을 낭비하거나 여건을 저하시키지 말자는 것
- 경제, 사회, 환경 등 세 가지 요소에서 균형을 지킬 것을 요함

로마클럽
- 1972년
- 자원, 인구, 식량,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지적
- 인류가 존속하기 위해 성장보다 발전에 방점을 찍어야 한다고 강조

유엔환경계획(UNEP)
- 1987년
- 전 세계적으로 지속가능성이 주요 의제로 등장(우리의 공동 미래)

밸디즈원칙
- 1989년
- 알래스만에서 액속 밸디즈호의 원유 유출 사건 이슈
- 이 사건으로, 미국은 기업이 환경과 사회 영향을 관리와 개선해야 한다고 말함

리우선언
- 1992년
- 환경과 개발에 관한 세계 3대 환경 협약 포함
1) 기후변화협약(온실가스 감축)
2) 생물다양성협약(생태계 보존)
3) 사막화방지협약 (사막화 방지, 물 부족 문제 해결)
- 이 세 가지는 E 영역의 글로벌 가이드라인

유엔기후변화협약(UNFCCC)
- '교토의정서(1997년)'를 지나 '파리기후변화협약(2015년)'으로 기후변화와 환경 아젠다 발전

국제노동기구(ILO)
- 1998년
- 강제 노동 철폐, 아동노동 폐지 등 4대 원칙 발표

미국정부
- 나이키 협력사의 아동노동 사태가 불매운동으로 벌어지는 일이 있었음
- 미국 정부는 테스크포스 설치해 국제적 인권, 노동 원칙을 마련하기도 함
- S영역에서 글로벌 가이드라인이 됨

지속가능발전 세계 정상회의(WSSD)
- 2002년
- 21세기 인류의 보편적 발전 전략 함축하는 개념으로 정착

2. 글로벌 금융에서 기업으로 확산

- ESG라는 용어가 만들어진 데는 금융회사들의 모임이 큰 역할

유엔환경계획 금융 이니셔티브(UNEP FI)
- 1991년
- UNEP와 세계 주요 금융회사들이,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금융 부문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결성한 국제 파트너십
- 2021년 기준 세계 378개 금융회사가 참여하며, 글로벌 이니셔티브로 성장
- 2002년, UNEP FI가 ESG라는 단어 처음 사용하면서, ESG가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는 원칙이 논의되기 시작

유엔클로벌콤팩트(UNGC)
- ESG 단어가 공식적으로 제시된 것은, 2005년 유엔클로벌콤팩트(UNGC)에서다
- UNGC에서 사회책임투자에 대한 글로벌 이니셔티브 설립 결의

책임투자원칙(UN PRI)
- 그 결과, 2006년에 책임투자원칙(UN PRI) 결성
- 세계 기관투자가들의 책임 투자 흐름을 이끌고 있는 가장 큰 이니셔티브에 해당
- 2022년 3월 기준 4902의 기관이 서명
- 세계적 금융사들이 참여하고 있어 사회책임투자의 글로벌 룰을 좌우하고 있음
- PRI는 2020년부터 ESG 투자의 가중치를 30%로 상향 조정했고, 50%까지 올림
- UN PRI가 금융투자 원칙으로 ESG를 강조하면서 ESG 프레임워크 초석을 다진 것으로 해석

※Point
- ESG라는 단어는 2002년 처음로 사용되기 시작(in UNEP FI)
- 2002년에 주가와 연관 논의 시작(in UNEP FI)
- 2005년 공식적으로 ESG 단어 사용되기 시작(in UNGC)
- 2020년부터 ESG 투자 가중치 높아짐(in UN PRI)

3. 자본주의 4.0 논의 본격화

1) ISO-26000
- ESG 실행을 위한 기본적 글로벌 가이드
- 탄생
 => 미국의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
 => 자본주의 4.0 논의
 => 2010년 ISO-26000 발표

2) SDGs(지속가능발전목표)
- 2015년 발표
- ESG 경영의 선두 주자들은 지속가능경영 목표 설정 시 이 지표 활용
- 핵심 : ESG를 '수치'로 관리
 => ESG 각 항목의 달성 목표를 숫자로 제시, 매년 업데이트

3) 이해관계자 자본주의
- BRT*의 참여한 CEO들이, '주주이익 극대화를 넘어 기업의 이해관계자 모두를 만족 시켜야 한다'라고 말하며 서명
- 주주를 넘어 고객, 직원, 공급자, 지역사회 등을 더 고려하게 됨

※ 이 글은 책 '한경 무크 ESG 2.0'을 기반으로 포스팅되었습니다

한경무크 ESG 2.0 – Daum 검색

 

한경무크 ESG 2.0 – Daum 검색

Daum 검색에서 한경무크 ESG 2.0에 대한 최신정보를 찾아보세요.

search.daum.net

 

댓글